키르기스스탄 축구 국가대표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키르기스스탄 축구 국가대표팀은 키르기스스탄을 대표하는 축구 팀으로, 1991년 독립 이후 창설되었다. 1994년 FIFA와 AFC에 가입했으며, 2019년 AFC 아시안컵에 처음 출전하여 16강에 진출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2026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에서 최종 예선에 진출하며 월드컵 예선 최고 성적을 기록했다. 역대 감독으로는 메클리스 코샬리예프, 알렉산드르 크레스티닌 등이 있으며, 주요 선수로는 카이라트 지르갈벡 울루, 미를란 무르자예프 등이 있다. 홈 구장은 비슈케크의 돌렌 오무르자코프 경기장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키르기스스탄의 축구 - 키르기스스탄 축구 연맹
키르기스스탄 축구 연맹은 키르기스스탄의 축구를 관장하며, 다양한 리그와 컵 대회를 운영하고 여러 국가대표팀을 지원하며, 카나트 마마토프 회장과 임원진이 키르기스스탄 축구 발전을 위해 노력하는 기관이다. - 키르기스스탄의 축구 - 키르기스스탄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키르기스스탄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은 키르기스스탄을 대표하는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으로, FIFA 여자 월드컵과 AFC 여자 아시안컵 본선 진출 경험은 없지만 CAFA 여자 챔피언십에서 2022년 3위를 기록했다. - 아시아의 축구 국가대표팀 - 부탄 축구 국가대표팀
부탄 축구 국가대표팀은 부탄 축구 연맹의 관리를 받으며 창림탕 스타디움을 홈 구장으로 사용하는 부탄의 대표팀으로, FIFA 월드컵 본선 진출 경험은 없지만 월드컵 및 AFC 아시안컵 예선에서 이변을 연출하고 2008년 남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에서 준결승에 진출하는 등 성과를 냈다. - 아시아의 축구 국가대표팀 - 아시아 축구 연맹
아시아 축구 연맹(AFC)은 아시아 축구 발전을 위해 1954년 창설되어 쿠알라룸푸르에 본부를 두고 47개 회원국을 관할하며 FIFA 월드컵, AFC 아시안컵 등 대회를 주관하고, 5개 지역 연맹으로 구성되어 회원국 경기력 향상을 지원한다. - AFC에 관한 - 부탄 축구 국가대표팀
부탄 축구 국가대표팀은 부탄 축구 연맹의 관리를 받으며 창림탕 스타디움을 홈 구장으로 사용하는 부탄의 대표팀으로, FIFA 월드컵 본선 진출 경험은 없지만 월드컵 및 AFC 아시안컵 예선에서 이변을 연출하고 2008년 남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에서 준결승에 진출하는 등 성과를 냈다. - AFC에 관한 - 아시아 축구 연맹
아시아 축구 연맹(AFC)은 아시아 축구 발전을 위해 1954년 창설되어 쿠알라룸푸르에 본부를 두고 47개 회원국을 관할하며 FIFA 월드컵, AFC 아시안컵 등 대회를 주관하고, 5개 지역 연맹으로 구성되어 회원국 경기력 향상을 지원한다.
키르기스스탄 축구 국가대표팀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정식 명칭 | 키르기스 공화국 축구 국가대표팀 |
별칭 | 하얀 매 (The White Falcons) |
협회 | 키르기스 축구 연맹 |
연맹 | AFC (아시아) |
하위 연맹 | CAFA (중앙아시아) |
감독 | 막심 리시친 |
주장 | 카이라트 지르갈베크 울루 |
최다 출장 선수 | 카이라트 지르갈베크 울루 (78) |
최다 득점 선수 | 미를란 무르자예프 (16) |
홈 경기장 | 돌렌 오무르자코프 스타디움 |
FIFA 코드 | KGZ |
FIFA 최고 랭킹 | 75 |
FIFA 최고 랭킹 날짜 | 2018년 4월-5월 |
FIFA 최저 랭킹 | 201 |
FIFA 최저 랭킹 날짜 | 2013년 3월 |
Elo 최고 랭킹 | 136 |
Elo 최고 랭킹 날짜 | 2019년 1월 |
Elo 최저 랭킹 | 178 |
Elo 최저 랭킹 날짜 | 2013년 2월 |
유니폼 | |
홈 유니폼 색상 | 상의: 빨간색, 하의: 빨간색, 양말: 빨간색 |
원정 유니폼 색상 | 상의: 하얀색, 하의: 하얀색, 양말: 하얀색 |
첫 경기 | |
첫 경기 날짜 | 1992년 8월 23일 |
첫 경기 상대 | 우즈베키스탄 |
첫 경기 결과 | 3–0 |
첫 경기 장소 | 타슈켄트, 우즈베키스탄 |
최고 승리 | |
최고 승리 날짜 | 2019년 10월 10일, 2021년 6월 11일 |
최고 승리 상대 | 미얀마 |
최고 승리 결과 | 7–0 , 1–8 |
최고 승리 장소 | 비슈케크, 키르기스스탄, 오사카, 일본 |
최대 패배 | |
최대 패배 날짜 | 1997년 6월 4일 |
최대 패배 상대 | 이란 |
최대 패배 결과 | 7–0 |
최대 패배 장소 | 다마스쿠스, 시리아 |
지역 대회 정보 | |
지역 대회 이름 | AFC 아시안컵 |
지역 대회 출전 횟수 | 3회 |
첫 지역 대회 출전 | 2019년 |
최고 지역 대회 성적 | 16강 (2019년) |
두 번째 지역 대회 정보 | |
두 번째 지역 대회 이름 | CAFA 네이션스컵 |
두 번째 지역 대회 출전 횟수 | 1회 |
첫 두 번째 지역 대회 출전 | 2023년 |
최고 두 번째 지역 대회 성적 | 4위 (2023년) |
세 번째 지역 대회 정보 | |
세 번째 지역 대회 이름 | WAFF 챔피언십 |
세 번째 지역 대회 출전 횟수 | 1회 |
첫 세 번째 지역 대회 출전 | 2000년 |
최고 세 번째 지역 대회 성적 | 조별 리그 (2000년) |
네 번째 지역 대회 정보 | |
네 번째 지역 대회 이름 | AFC 챌린지컵 |
네 번째 지역 대회 출전 횟수 | 3회 |
첫 네 번째 지역 대회 출전 | 2006년 |
최고 네 번째 지역 대회 성적 | 3위 (2006년) |
2. 역사
1991년 소련 붕괴 이전까지 키르기스스탄 축구 선수들은 소련 축구 국가대표팀에서 활동했다. 같은 해 8월 31일 키르기스스탄이 독립하면서 국가대표팀이 창설되었다. 키르기스스탄은 1992년 8월 23일 타슈켄트에서 열린 1992년 중앙아시아 컵ru에서 우즈베키스탄 축구 국가대표팀을 상대로 첫 경기를 치렀으나 0-3으로 패배했다.
1994년 키르기스스탄 축구 연맹은 아시아 축구 연맹(AFC)과 FIFA의 정회원으로 가입되었다. 이후 여러 대회 예선에 참가하였으나, 본선 진출에는 번번이 실패했다.
대회 | 결과 |
---|---|
1996년 AFC 아시안컵 예선 | 조 2위 |
1998년 FIFA 월드컵 예선 | 조 2위 |
2000년 AFC 아시안컵 예선 | 조 최하위 |
2002년 FIFA 월드컵 예선 | 조 3위 |
2004년 AFC 아시안컵 예선 | 조 2위 |
2006년 FIFA 월드컵 예선 2차 예선 | 조 4위 |
2006년 월드컵 예선 1차 예선에서 파키스탄 축구 국가대표팀을 꺾고 2차 예선에 진출했으나, 바레인, 시리아, 타지키스탄에 밀려 조 최하위로 탈락했다.[1]
2019년 AFC 아시안컵 예선에서 인도, 미얀마, 마카오와 같은 조에 편성되어 4승 1무 1패를 기록하며 2019년 AFC 아시안컵에 처음으로 진출하였다.[2] 2019년 AFC 아시안컵 본선에서는 중국, 필리핀, 대한민국과 함께 C조에 편성되었다. 중국과 대한민국에 연달아 패했으나, 필리핀과의 마지막 경기에서 비탈리 룩스의 해트트릭에 힘입어 대회 역사상 첫 승리를 거두며 16강에 진출, 아랍에미리트와 맞붙게 되었다. 아랍에미리트와의 경기에서 후반 추가시간에 투르수날리 루스타모프의 헤딩골로 2-2 동점을 만들며 연장전에 돌입했으나, 아흐메드 칼릴의 페널티킥으로 인해 탈락하였다.
같은 해 키르기스스탄은 FIFA 랭킹 역대 최고 순위인 75위에 올랐다.
2023년 아시안컵 예선에서 키르기스스탄은 F조 경기를 모두 홈에서 치렀으며, 타지키스탄, 미얀마, 싱가포르와 같은 조에 속했다. 첫 경기에서 발레리 키친의 페널티킥과 빅토르 마이어의 결승골로 싱가포르에 승리했고, 다음 경기에서 빅토르 마이어는 미얀마를 상대로 2골을 넣어 승리했다. 마지막 경기에서 타지키스탄과 0-0 무승부를 기록하며 2023년 AFC 아시안컵 본선 진출을 확정지었다.
2023년 AFC 아시안컵에서는 조별 리그 최종전 오만과의 경기에서 무승부를 거두며 1점에 그쳐 2회 연속 16강 진출에는 실패했다.[9]
2000년 서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에 초청팀 자격으로 출전했으나 조별리그에서 탈락했다. 2006년 대회에서는 2006년 AFC 청소년 축구 선수권 대회 예선을 통과한 선수들로 구성되었음에도 준결승에 진출했다. 2010년 대회와 2014년 대회에서는 모두 조별리그에서 탈락했지만, 2010년 대회에서는 인도를 2-1로 꺾었고, 2014년 대회에서는 미얀마를 1-0으로 물리쳤다.
북키프로스에서 열린 2006년 엘프컵에서는 3위에 입상했으며, U-23 대표팀으로 출전한 2017년 아체 세계 솔리대리티 쓰나미컵에서는 개최국 인도네시아를 누르고 우승을 차지했다.
CAFA 네이션스컵 기록 | |||||||
---|---|---|---|---|---|---|---|
년도 | 결과 | 경기 수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2023 | 4위 | 3 | 1 | 0 | 2 | 4 | 6 |
합계 | 3 | 1 | 0 | 2 | 4 | 6 |
서아시아 선수권 대회(WAFF Championship) 기록 | |||||||
---|---|---|---|---|---|---|---|
년도 | 결과 | 경기 수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2000년 | 조별 리그 | 3 | 0 | 0 | 3 | 0 | 8 |
합계 | 3 | 0 | 0 | 3 | 0 | 8 |
년도 | 결과 | 순위 | 경기 수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
2006 | 준결승 | 5 | 2 | 1 | 2 | 11 | 8 |
2. 1. 초기 (1992-2006)
1991년 소련 붕괴 이전까지 키르기스스탄 축구 선수들은 소련 축구 국가대표팀에서 활동했다. 같은 해 8월 31일 키르기스스탄이 독립하면서 국가대표팀이 창설되었다. 키르기스스탄은 1992년 8월 23일 타슈켄트에서 열린 Кубок Центральной Азии по футболу 1992|1992년 중앙아시아 컵ru에서 우즈베키스탄 축구 국가대표팀을 상대로 첫 경기를 치렀으나 0-3으로 패배했다.1994년 키르기스스탄 축구 연맹은 아시아 축구 연맹(AFC)과 FIFA의 정회원으로 가입되었다. 이후 여러 대회 예선에 참가하였으나, 본선 진출에는 번번이 실패했다.
대회 | 결과 |
---|---|
1996년 AFC 아시안컵 예선 | 조 2위 |
1998년 FIFA 월드컵 예선 | 조 2위 |
2000년 AFC 아시안컵 예선 | 조 최하위 |
2002년 FIFA 월드컵 예선 | 조 3위 |
2004년 AFC 아시안컵 예선 | 조 2위 |
2006년 FIFA 월드컵 예선 2차 예선 | 조 4위 |
2006년 월드컵 예선에서는 1차 예선에서 파키스탄 축구 국가대표팀을 꺾고 2차 예선에 진출했으나, 바레인, 시리아, 타지키스탄에 밀려 조 최하위로 탈락했다.[1]
2. 2. AFC 아시안컵 첫 출전과 성장 (2007-현재)
2019년 AFC 아시안컵 예선에서 키르기스스탄은 인도, 미얀마, 마카오와 같은 조에 편성되어 4승 1무 1패를 기록하며 2019년 AFC 아시안컵에 처음으로 진출하였다.[2] 2019년 AFC 아시안컵 본선에서 키르기스스탄은 중국, 필리핀, 대한민국과 함께 C조에 편성되었다. 중국과 대한민국에 연달아 패한 키르기스스탄은 16강 진출을 위해 필리핀과의 마지막 경기에서 승리가 절실했고, 비탈리 룩스의 해트트릭에 힘입어 대회 역사상 첫 승리를 거두며 16강에 진출, 아랍에미리트와 맞붙게 되었다. 경기 내내 아랍에미리트가 2-1로 앞서갔지만, 후반 추가시간에 투르수날리 루스타모프가 코너킥 상황에서 헤딩골을 터뜨려 2-2 동점을 만들며 연장전에 돌입했으나, 아흐메드 칼릴의 페널티킥으로 인해 키르기스스탄은 탈락하였다.같은 해 키르기스스탄은 FIFA 랭킹 역대 최고 순위인 75위에 올랐다.
2023년 아시안컵 예선에서 키르기스스탄은 F조 경기를 모두 홈에서 치렀으며, 타지키스탄, 미얀마, 싱가포르와 같은 조에 속했다. 첫 경기에서 1-0으로 뒤처졌던 키르기스스탄은 77분 발레리 키친의 페널티킥으로 동점을 만들었고, 82분 빅토르 마이어의 결승골로 3점을 획득했다. 다음 경기에서 빅토르 마이어는 미얀마를 상대로 2골을 넣어 키르기스스탄에 승점 3점을 안겼고, 마지막 경기에서 타지키스탄과 0-0 무승부를 기록하며 두 팀 모두 2023년 AFC 아시안컵 본선 진출을 확정지었다.
2023년 AFC 아시안컵에서는 조별 리그 최종전 오만과의 경기에서 무승부를 거두며 1점에 그쳐 2회 연속 16강 진출에는 실패했다.[9]
2. 3. 기타 국제 대회
2000년 서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에 초청팀 자격으로 출전했으나 조별리그에서 탈락했다. 2006년 대회에서는 2006년 AFC 청소년 축구 선수권 대회 예선을 통과한 선수들로 구성되었음에도 준결승에 진출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2010년 대회와 2014년 대회에서는 모두 조별리그에서 탈락했지만, 2010년 대회에서는 인도를 2-1로 꺾었고, 2014년 대회에서는 미얀마를 1-0으로 물리쳤다.북키프로스에서 열린 2006년 엘프컵에서는 3위에 입상했으며, U-23 대표팀으로 출전한 2017년 아체 세계 솔리대리티 쓰나미컵에서는 개최국 인도네시아를 누르고 우승을 차지했다.
CAFA 네이션스컵 기록 | |||||||
---|---|---|---|---|---|---|---|
년도 | 결과 | 경기 수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2023 | 4위 | 3 | 1 | 0 | 2 | 4 | 6 |
합계 | 3 | 1 | 0 | 2 | 4 | 6 |
서아시아 선수권 대회(WAFF Championship) 기록 | |||||||
---|---|---|---|---|---|---|---|
년도 | 결과 | 경기 수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2000년 | 조별 리그 | 3 | 0 | 0 | 3 | 0 | 8 |
합계 | 3 | 0 | 0 | 3 | 0 | 8 |
년도 | 결과 | 순위 | 경기 수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
2006 | 준결승 | ]]||5||2||1||2||11||8 |
- 무승부에는 승부차기로 결정된 토너먼트 경기가 포함됩니다.
개최년도 | 결과 | 경기수 | 승리 | 무승부 | 패배 | 득점 | 실점 |
---|---|---|---|---|---|---|---|
2006 | 3위 | 5 | 2 | 1 | 2 | 11 | 8 |
홈 경기는 수용 인원 2만 3천 명의 돌렌 오무르자코프 경기장에서 열리며, 비슈케크에 위치해 있다.
다음은 2024년 11월 14일과 19일에 아랍에미리트와 이란과의 2026년 FIFA 월드컵 예선 경기를 위해 소집된 선수 명단이다.[6]
3. 경기장
4. 선수
''2024년 11월 19일 이란과의 경기 후 기준으로 출전 기록과 득점 기록이 정정되었다.''[7]순위 선수 출전 수 득점 수 활동 기간 1 카이라트 지르갈베크 울루 78 4 2013년–현재 2 타미를란 코주바예프 63 2 2015년–현재 3 파르하트 무사베코프 61 2 2015년–현재 4 미를란 무르자예프 60 16 2009년–현재 5 바딤 하르첸코 53 3 2003년–2015년 6 발레리 키친 52 5 2011년–현재 7 오딜존 아브두락흐마노프 49 3 2016년–현재 8 바흐티야르 두이쇼베코프 48 3 2015년–현재 9 파벨 마탸시 46 0 2009년–2021년 10 굴지기트 알리쿨로프 42 5 2019년–현재 루슬란 시디코프 42 1 1997년–2013년 순위 선수 골 출전 경기 수 기간 1 미를란 무르자예프 16 60 2009년–현재 2 안톤 젬리야누킨 13 33 2007년–2023년 3 조엘 코조 10 23 2023년–현재 4 비탈리 룩스 8 32 2015년–2019년 5 투르수날리 루스타모프 6 32 2012년–현재 알리마르돈 슈쿠로프 6 37 2017년–현재 7 에드가르 베른하르트 5 41 2014년–2021년 굴지기트 알리쿨로프 5 42 2019년–현재 발레리 키친 5 52 2011년–현재 10 빅토르 마이어 4 24 2015년–현재 아흘리딘 이스라이로프 4 34 2013년–현재 아자마트 바이마토프 4 36 2010년–2019년 벡잔 사긴바예프 4 41 2018년–현재 카이라트 지르갈벡 울루 4 78 2013년–현재
4. 1. 주요 선수
다음은 2024년 11월 14일과 19일에 아랍에미리트와 이란과의 2026년 FIFA 월드컵 예선 경기를 위해 소집된 선수 명단이다.[6]
''2024년 11월 19일 이란과의 경기 후 기준으로 출전 기록과 득점 기록이 수정되었다.''
번호 | 포지션 | 이름 | 출생일(나이) | 출전 | 득점 | 소속팀 | |
---|---|---|---|---|---|---|---|
1 | GK | 에르잔 토코타예프 | Ержан Токотаев|에르잔 토코타예프ru | 33 | 0 | Şanlıurfaspor|샨르으르파스포르tr | |
13 | GK | 술탄 초모예프 | Султан Чомоев|술탄 초모예프ru | 1 | 0 | 아브디시-아타 칸트 | |
16 | GK | 마르셀 이슬람쿨로프 | Марсель Исламкулов|마르셀 이슬람쿨로프ru | 2 | 0 | 아브디시-아타 칸트 | |
2 | DF | 울란벡 술라이마노프 | 0 | 0 | 알라이 | ||
3 | DF | 타미를란 코주바예프 | Тамирлан Козубаев|타미를란 코주바예프ru | 63 | 2 | 이스터너 | |
4 | DF | 사이드 다치예프 | Саид Дациев|사이드 다치예프ru | 3 | 0 | 도르도이 비슈케크 | |
5 | DF | 아르슬란 베크베르디노프 | Арслан Бекбердинов|아르슬란 베크베르디노프ru | 1 | 0 | 도르도이 비슈케크 | |
6 | DF | 베크투르 아만겔디예프 | Бектур Амангельдиев|베크투르 아만겔디예프ru | 0 | 0 | 탈란트 | |
14 | DF | 알렉산드르 미셴코 | Александр Мищенко|알렉산드르 미셴코ru | 26 | 0 | 도르도이 비슈케크 | |
DF | 크리스티얀 브라우즈만 | Християн Браузман|크리스티얀 브라우즈만ru | 25 | 2 | 아브디시-아타 칸트 | ||
DF | 박타이 타알라이벡 울루 | 0 | 0 | 무라스 유나이티드 | |||
DF | 아스카르벡 살리예프 | 0 | 0 | 아브디시-아타 칸트 | |||
DF | 카이라트 지르갈베크 울루 | Кайрат Жыргалбек уулу|카이라트 지르갈베크 울루ru | 78 | 4 | 아브디시-아타 칸트 | ||
DF | 발레리 키친 | Валерий Кичин|발레리 키친ru | 52 | 5 | 로코모티프 타슈켄트 | ||
8 | MF | 무롤림존 아흐메도프 | Муролимжон Ахмедов|무롤림존 아흐메도프ru | 23 | 0 | 도르도이 비슈케크 | |
9 | MF | 벡나즈 알마즈베코프 | Бекназ Алмазбеков|벡나즈 알마즈베코프ru | 15 | 0 | 랄라피 | |
10 | MF | 굴지깃 알리쿨로프 | Гулжигит Алыкулов|굴지깃 알리쿨로프ru | 42 | 5 | 네만 그로드노 | |
11 | MF | 키미 메르크 | Кими Мерк|키미 메르크ru | 13 | 1 | 파흐타코르 | |
12 | MF | 오딜존 아브두락흐마노프 | Одилжон Абдурахманов|오딜존 아브두락흐마노프ru | 49 | 3 | 베카멕스 빈즈엉 | |
17 | MF | 엘디야르 자립베코프 | Эльдияр Зарыпбеков|엘디야르 자립베코프ru | 12 | 1 | 차이카 페스차노콥스코예 | |
18 | MF | 누르술탄 톡토날리예프 | 0 | 0 | 탈란트 | ||
19 | MF | 에르멕 켄제바예프 | Эрмек Кенжебаев|에르멕 켄제바예프ru | 9 | 0 | 슬라비아 모지르 | |
20 | MF | 눌란벡 사리크바예프 | Нурланбек Сарыкбаев|눌란벡 사리크바예프ru | 1 | 0 | 아브디시-아타 칸트 | |
21 | MF | 카이 메르크 | Кай Мерк|카이 메르크ru | 20 | 2 | 유니온 티투스 페탕주 | |
22 | MF | 알리마르돈 슈쿠로프 | Алимардон Шукуров|알리마르돈 슈쿠로프ru | 37 | 6 | 토르페도-벨라즈 | |
23 | MF | 에르볼 아타바예프 | Эрбол Атабаев|에르볼 아타바예프ru | 16 | 0 | 아브디시-아타 칸트 | |
MF | 엘칸 부디노프 | 0 | 0 | 지스크라 우스티 나드 오를리치 | |||
MF | 아딜 카디르자노프 | Адиль Кадыржанов|아딜 카디르자노프ru | 4 | 0 | 도르도이 비슈케크 | ||
7 | FW | 조엘 코조 | Джоэль Коджо|조엘 코조ru | 23 | 10 | 디나모 사마르칸트 | |
15 | FW | 막사트 알리굴로프 | Максат Алыгулов|막사트 알리굴로프ru | 1 | 0 | 무라스 유나이티드 |
순위 | 선수 | 출전 수 | 득점 수 | 활동 기간 |
---|---|---|---|---|
1 | 카이라트 지르갈벡 울루 | 78 | 4 | 2013년–현재 |
2 | 타미를란 코주바예프 | 63 | 2 | 2015년–현재 |
3 | 파르하트 무사베코프 | 61 | 2 | 2015년–현재 |
4 | 미를란 무르자예프 | 60 | 16 | 2009년–현재 |
5 | 바딤 하르첸코 | 53 | 3 | 2003년–2015년 |
6 | 발레리 키친 | 52 | 5 | 2011년–현재 |
7 | 오딜존 아브두락흐마노프 | 49 | 3 | 2016년–현재 |
8 | 바흐티야르 두이쇼베코프 | 48 | 3 | 2015년–현재 |
9 | 파벨 마탸시 | 46 | 0 | 2009년–2021년 |
10 | 굴지기트 알리쿨로프 | 42 | 5 | 2019년–현재 |
루슬란 시디코프 | 42 | 1 | 1997년–2013년 | |
순위 | 선수 | 골 | 출전 경기 수 | 경기당 평균 득점 | 기간 |
---|---|---|---|---|---|
1 | 미를란 무르자예프 | 16 | 60 | 0.27 | 2009년–현재 |
2 | 안톤 젬리야누킨 | 13 | 33 | 0.39 | 2007년–2023년 |
3 | 조엘 코조 | 10 | 23 | 0.43 | 2023년–현재 |
4 | 비탈리 룩스 | 8 | 32 | 0.25 | 2015년–2019년 |
5 | 투르수날리 루스타모프 | 6 | 32 | 0.19 | 2012년–현재 |
알리마르돈 슈쿠로프 | 6 | 37 | 0.16 | 2017년–현재 | |
7 | 에드가르 베른하르트 | 5 | 41 | 0.12 | 2014년–2021년 |
굴지기트 알리쿨로프 | 5 | 42 | 0.12 | 2019년–현재 | |
발레리 키친 | 5 | 52 | 0.1 | 2011년–현재 | |
10 | 빅토르 마이어 | 4 | 24 | 0.17 | 2015년–현재 |
아흘리딘 이스라이로프 | 4 | 34 | 0.12 | 2013년–현재 | |
아자마트 바이마토프 | 4 | 36 | 0.11 | 2010년–2019년 | |
벡잔 사긴바예프 | 4 | 41 | 0.1 | 2018년–현재 | |
카이라트 지르갈벡 울루 | 4 | 78 | 0.05 | 2013년–현재 | |
5. 역대 감독
감독 | 재임 시작 | 재임 종료 | 기록 | ||||
---|---|---|---|---|---|---|---|
경기 | 승 | 무 | 패 | 승률 | |||
메클리스 코샬리예프 | 1992년 8월 | 1996년 2월 | 15 | 1 | 3 | 11 | 7.14 |
예브게니 노비코프 | 1997년 6월 | 2001년 2월 | 19 | 4 | 1 | 14 | 21.05 |
네마트잔 자키로프 | 2003년 3월 | 2006년 3월 | 12 | 4 | 2 | 6 | 33.33 |
보리스 포드코리토프 | 2006년 3월 | 2006년 12월 | 6 | 3 | 0 | 3 | 50.00 |
네마트잔 자키로프 | 2007년 1월 | 2008년 12월 | 12 | 4 | 0 | 8 | 33.33 |
아나르벡 오르몬베코프 | 2009년 1월 | 2011년 5월 | 13 | 3 | 3 | 7 | 23.08 |
무라트 주마케예프 | 2011년 5월 | 2012년 9월 | 3 | 0 | 0 | 3 | 0.00 |
세르게이 드보리얀코프 | 2012년 9월 | 2014년 5월 | 6 | 3 | 1 | 2 | 50.00 |
미를란 에셰노프 (직무대행) | 2014년 5월 | 2014년 10월 | 3 | 0 | 0 | 3 | 0.00 |
알렉산드르 크레스티닌 | 2014년 10월 | 2023년 4월 3일[4] | 61 | 27 | 10 | 24 | 44.26 |
슈테판 타르코비치 | 2023년 4월 24일[5] | 2024년 6월 12일 | 19 | 6 | 4 | 9 | 31.57 |
막심 리시찐 | 2024년 6월 13일 | 현재 | 7 | 1 | 0 | 6 | 14.28 |
합계 | 130 | 37 | 18 | 74 | 28.46 |
6. FIFA 월드컵 기록
키르기스스탄은 현재까지 FIFA 월드컵 본선에 진출한 적이 없다. 1930년부터 1990년까지는 소련의 일원으로 참가했고, 1994년에는 FIFA 회원국이 아니었다. 1998년부터 2022년 월드컵까지는 모두 예선에서 탈락했다.
FIFA 월드컵 기록 | 예선 기록 | |||||||||||||
---|---|---|---|---|---|---|---|---|---|---|---|---|---|---|
년도 | 결과 | 순위 | 경기 수 | 승리 | 무승부* | 패배 | 득점 | 실점 | 경기 수 | 승리 | 무승부 | 패배 | 득점 | 실점 |
1930년 ~ 1990년 | 소비에트 연방 소속 | 소비에트 연방 소속 | ||||||||||||
1994년 | FIFA 회원국이 아님 | FIFA 회원국이 아님 | ||||||||||||
1998년 | 예선 탈락 | 5 | 3 | 0 | 2 | 12 | 11 | |||||||
2002년 | 6 | 1 | 1 | 4 | 3 | 9 | ||||||||
2006년 | 8 | 3 | 1 | 4 | 11 | 12 | ||||||||
2010년 | 2 | 1 | 0 | 1 | 2 | 2 | ||||||||
2014년 | 2 | 0 | 0 | 2 | 0 | 7 | ||||||||
2018년 | 8 | 4 | 2 | 2 | 10 | 8 | ||||||||
2022년 | 8 | 3 | 1 | 4 | 19 | 12 | ||||||||
2026년 | 결정되지 않음 | 10 | 4 | 2 | 4 | 18 | 14 | |||||||
2030년 | 결정되지 않음 | |||||||||||||
2034년 | ||||||||||||||
합계 | - | - | - | - | - | - | - | 49 | 19 | 8 | 23 | 75 | 75 |
2026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2차 예선에서는 6경기 3승 1무 2패, D조 2위로 사상 첫 월드컵 아시아 지역 최종 예선에 진출하며 키르기스스탄 축구 역사상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 역대 최고 성적을 거두었다.[11][12]
7. AFC 아시안컵 기록
키르기스스탄은 2019년 대회에 처음으로 출전하여 16강에 진출하는 돌풍을 일으켰다. 이는 월드컵과 아시안컵을 통틀어 키르기스스탄 축구 역사상 메이저 대회 최고 성적이다.[2] 2023년 AFC 아시안컵에서는 조별 리그에서 탈락했다.
AFC 아시안컵 기록 | rowspan="13" width="1%" | | 예선 기록 | |||||||||||||
---|---|---|---|---|---|---|---|---|---|---|---|---|---|---|---|
년도 | 결과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
1956년 ~ 1988년 | 소련 소속 | 소련 소속 | |||||||||||||
1992년 | AFC 회원국 아님 | AFC 회원국 아님 | |||||||||||||
1996년 | 예선 탈락 | 4 | 1 | 0 | 3 | 3 | 7 | ||||||||
2000년 | 3 | 0 | 0 | 3 | 3 | 11 | |||||||||
2004년 | 2 | 1 | 0 | 1 | 3 | 2 | |||||||||
2007년 | 참가하지 않음 | 참가하지 않음 | |||||||||||||
2011년 | 예선 탈락 | colspan=6| | |||||||||||||
2015년 | colspan=6| | ||||||||||||||
2019년 | 16강 | 15위 | 4 | 1 | 0 | 3 | 6 | 7 | 14 | 8 | 3 | 3 | 26 | 17 | |
2023년 | 조별리그 | 20위 | 3 | 0 | 1 | 2 | 1 | 5 | 11 | 5 | 2 | 4 | 23 | 13 | |
2027년 | 예선 통과 | 6 | 3 | 2 | 1 | 13 | 7 | ||||||||
합계 | 2회 진출 | 15위 | 7 | 1 | 1 | 5 | 7 | 12 | 40 | 18 | 7 | 15 | 81 | 57 |
2019년 AFC 아시안컵에서 키르기스스탄은 중국, 필리핀, 대한민국과 함께 C조에 편성되었다. 중국과 대한민국에 연달아 패했지만, 필리핀과의 마지막 경기에서 비탈리 룩스의 해트트릭에 힘입어 대회 역사상 첫 승을 거두며 16강에 진출했다. 16강에서는 아랍에미리트를 만나 연장전까지 가는 접전 끝에 2-3으로 석패했다.[2]
2023년 아시안컵 예선에서 키르기스스탄은 미얀마, 싱가포르, 타지키스탄과 같은 조에 속했다. 미얀마와 싱가포르를 상대로 승리하고 타지키스탄과 무승부를 기록하며 조 2위로 2023년 AFC 아시안컵 본선에 진출했다.
참조
[1]
웹사이트
Kyrgyzstan International Matches
https://www.rsssf.or[...]
2006-04-30
[2]
웹사이트
How Kyrgyz Republic cracked the consistency code
https://www.fifa.com[...]
2024-04-20
[3]
웹사이트
http://ffkr.kg/trene[...]
Football Federation of the Kyrgyz Republic
2019-01-06
[4]
웹사이트
ЧОҢ РАХМАТ, АЛЕКСАНДР СЕРГЕЕВИЧ!
https://twitter.com/[...]
Kyrgyz Football Union Twitter
2023-04-03
[5]
웹사이트
ШТЕФАН ТАРКОВИЧ - НОВЫЙ ГЛАВНЫЙ ТРЕНЕР НАЦИОНАЛЬНОЙ СБОРНОЙ КЫРГЫЗСТАНА
https://twitter.com/[...]
Kyrgyz Football Union Twitter
2023-04-24
[6]
웹사이트
РАСШИРЕННЫЙ СОСТАВ НАЦИОНАЛЬНОЙ СБОРНОЙ НА ОТБОРОЧНЫЕ ИГРЫ ЧЕМПИОНАТА МИРА 2026
https://www.kfu.kg/n[...]
Kyrgyzstan Football Union
2024-11-21
[7]
웹사이트
Kyrgyzstan
https://www.national[...]
[8]
웹사이트
Kyrgyzstan National Team Team's statistics (1992–2011)
http://ffkr.kg/index[...]
[9]
웹사이트
[アジアカップ]グループF日程&結果
https://web.gekisaka[...]
[10]
웹사이트
[W杯アジア2次予選]グループD日程&結果
https://web.gekisaka[...]
[11]
기타
[12]
기타
[13]
기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